본문 바로가기

재활의학이란?/재활치료가 필요한 질환2

1. 뇌졸중 (Stroke) - (2) 시술/수술 후 병동 입원, 여러 검사 진행 & 재활치료 협진 안녕하세요, 재활의학과 의사 닥터 RMJH입니다. 지난시간에 이어서 이번엔 "(2) 시술/수술 후 병동 입원, 여러 검사 진행 & 재활치료 협진"에 대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1) 동의서 사인 후 시술 / 수술 혹은 그냥 약물치료 시작 A. 뇌경색일 경우 (신경과) - 발생시간으로부터 6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막힌 혈관을 직접 뚫는 시술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발생시간으로부터 6시간이 넘었으면 항혈소판제 혹은 항응고제와 같은 약물치료를 시작합니다. *간혹 뇌경색이 매우 심하게 와서 뇌부종이 동반된 경우 신경외과 협진해서 뇌압을 낮추기위해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B. 뇌출혈일 경우 (신경외과) - 경미한 뇌출혈일 경우 경과관찰합니다. - 뇌부종이 동반되지 않은 뇌출혈의 경우 두개골 절제술 및 혈종 .. 2021. 1. 3.
1. 뇌졸중 (Stroke) - (1) 증상 발생 후 응급실 도착 까지 안녕하세요, 재활의학과 의사 닥터 RMJH입니다. 제가 병원에서 많은 "뇌졸중 환자분들과 그분들의 보호자분들"을 접하면서 가장 많이 느낀 점은, "뇌졸중의 발생부터 재활치료, 일상으로의 복귀까지의 과정", 그 큰 하나의 과정을 제대로 설명을 들으신 분이 없고 제가 설명을 해드리면 그제서야 감사해하시면서 이해를 하고 감을 잡으시는 분들이 많은것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을 기점으로 재활치료가 필요한 가장 대표적인 질환인 뇌졸중에 대해서 증상 발생부터 응급실, 신경과, 재활의학과를 거쳐서 급성기 치료, 재활치료, 그리고 일상으로의 복귀까지의 전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구별해야되는 것은 뇌졸중에는 뇌경색과 뇌출혈이 있다는 것이고 쉽게 설명해서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히는 것이고 뇌출.. 2021. 1. 2.